728x90

윈도우의 기본 탐색기를 쓰다보면, 폴더 여러 개를 계속 왔다갔다 할 일이 생긴다. 


그럴 때에 사용하면 편한 것이 이런 프로그램이다.

이런 프로그램의 종류는 다양하다. NexusFile, Clover, Q-Dir 등등...

뭐 이것들 중에서 설치도 안하고 사용할 수 있는게 좋아서 그냥 Q-Dir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공식 홈페이지 : http://www.softwareok.com/?seite=Freeware/Q-Dir

다운로드 : http://www.softwareok.com/?Download=Q-Dir


Installer가 적힌 버전을 받으면 설치를 해야하고, Portable이 적힌 버전을 받으면 설치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728x90

'Dev T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 Tool - PixelAtro App  (0) 2018.02.22
Dev Tool - VMMap  (0) 2017.12.05
Dev Tool - GPS Korea 좌표 변환기  (0) 2017.04.20
Dev Tool - TortoiseSVN  (0) 2017.02.23
Dev Tool - depends22  (0) 2016.10.14
728x90

칼럼을 클릭했을 때, 오름차순 or 내림차순으로 List Control의 항목들을 정렬시키고 싶을 때에 이 코드를 추가하면 된다.


// 멤버 변수 추가.

int m_nSortColumn;

BOOL m_bAscending;



// OnLvnColumnclickListVariable 이벤트 메시지 처리기에 추가.

LPNMLISTVIEW pNMLV = reinterpret_cast<LPNMLISTVIEW>(pNMHDR);


int column = pNMLV->iSubItem;

if (column == m_nSortedColumn)

{

    m_bAscending = !m_bAscending;

}

else

{

    m_bAscending = TRUE;

}


m_nSortedColumn = column;

int cnt = m_ListControl.GetItemCount();

CString* str = new CString[cnt];


for (int i = 0; i < cnt; ++i)

{

    str[i] = m_ListControl.GetItemText(i, column);

    m_ListControl.SetItemData(i, (DWORD)(LPCTSTR)str[i]);

}


m_ListControl.SortItems(CompareFunc, (LPARAM)m_bAscending);

delete[]str;


*pResult = 0;



// cpp에 전역 변수로 Compare함수 추가.

static int CALLBACK CompareFunc(LPARAM lParam1, LPARAM lParam2, LPARAM lParam)

{

    BOOL Ascending = (BOOL)lParam;

    LPCTSTR s1 = (LPCTSTR)(DWORD)lParam1;

    LPCTSTR s2 = (LPCTSTR)(DWORD)lParam2;

    if (Ascending)

        return _tcscmp(s1, s2);

    else

        return -(_tcscmp(s1, s2));

    return 0;

}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ji0223&logNo=220661789914&categoryNo=0&parentCategoryNo=0&viewDate=&curren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View

728x90
728x90

ListCtrl 에서 여러 개의 아이템을 한번에 선택해서 삭제하기 위해서 또 코드를 입력해야한다.



어려운 코드는 아니므로 설명은 생략하겠다.

728x90
728x90

우리는 USB를 사용하다가 포맷할 때에는 그냥 포맷을 한다.


하지만, 파일 시스템을 자세히보면 NTFS, FAT32, exFAT 등이 있다.


이 파일 시스템을 잘 선택해서 포맷을 해야 하는데, 뭔지 모르니 그냥 기본 값으로 FAT32로 선택해서 사용하게 된다.

우선 이 파일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자.



FAT(File Allocation Table) 파일 시스템은 그 유명한 빌게이츠와 마크 맥도널드가 1977년에 개발하였다. DR-DOS, MS-DOS, OS/2, MS Window(ME 까지만..) 등 많은 운영 체제를 위한 파일 시스템이다.



FAT 이름은 어느 영역에 파일이 속해 있는지와 용량에 여유가 있는지, 어디에 어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에서 비롯한다. 테이블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해 클러스터라 불리는 하드웨어 섹터에 인접한 그룹에서 디스크 공간이 파일에 할당된다.


FAT 포맷의 버전은 12, 16, 32 등이 있지만, 현재는 FAT32만 사용되고 있다.



FAT32는 Windows 98에서 많이 사용했던 방식으로 속도는 빠르지만, 4GB까지의 용량만 인식이 가능하고, 파일 이름의 길이 제한이 존재한다. 그래서 소용량의 USB 혹은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 카드등에 사용되고 있다.



NTFS(New Technology, NT File System)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FAT32에 비해 보안성이 뛰어나고, 4GB 이상의 용량도 인식이 가능하다.

Windows NT3.1/3.5/3.51/4.0/2000/XP/Vista/7/그 이후 버전... 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파일 크기 및 볼륨은 이론상으로 최대 16EB까지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2TB가 한계인 상태이다.



exFAT(Extended File Allocation Table)는 FAT32의 확장판으로 FAT64이다.

Windows XP/2003/Vista, 임베디드 CE 6.0 이상 부터 지원한다.

FAT32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고양량의 플래쉬 메모리 미디어를 위한 파일 시스템이다. 용량은 NTFS와 동일하다.


결론은 USB 및 메모리 카드들은 NTFS로 포맷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728x90
728x90


이렇다고하는데...


어차피 터지면 바로 죽는거 아닐까요? ㅠㅠ


728x90

'생활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정보 - 포맷할 때 FAT32, NTFS 란??  (0) 2017.09.06
생활정보 - 호랑이 연고(TIGER BALM)  (0) 2017.09.06
728x90

이번에 중국 출장을 다녀온 동료 직원이 사다준 호랑이 연고(TIGER BALM)에 대해 찾아본 김에 포스팅하려고 한다.


이 연고는 옛날부터 만병통치약으로 불린다고하며, 약 100년전부터 중국에서 많이 사용한듯하네요.


호랑이 연고라고 불리다보니, 호랑이뼈가 들어갔다느니 호랑이의 기름이 들어갔다느니 하는 속설들이 많이 있었는데, 이것은 모두 거짓이라고 합니다.


이 약의 성분은 기본 적으로 천연 허브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네요. ㅎㅎ


이 연고의 역사를 찾아보면, 중국의 후쯔친이라는 한의사가 미얀마에 가서 약국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미얀마에는 벌레도 많고 습하다보니 피부병들이 너무 많았다고 해요.

그래서 후쯔친이 피부병들에 대해 많은 연구 끝에 나온 약이 바로 호랑이 연고라고 합니다. 


그럼 왜 호랑이 연고라고 불리냐하면,  이 한의사의 아들 이름이 원후, 원바오 라고 하는데요.

이름의 뜻을 보면 


원후 :  순한 호랑이

원바오 : 순한 표범


이었다고 합니다. ㅎㅎㅎ 대충 감이 오시죠?


아버지 후쯔친이 죽고 두 아들이 제약회사를 차리면서 이름을 호표라고 짖고, 이 피부약의 이름을 원후의 이름을 따서 호랑이 연고(TIGER BALM) 이 되었다고 해요.


이제 약의 모양을 한번 살펴 볼께요.


아래는 뚜껑 사진입니다. 보시면 바로 호랑이 모양이 있습니다.


옆면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ㅎㅎ


뚜껑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그냥 손으로 찍어서 바르면 되는 연고 입니다.



이 연고의 성분과 효능은


Camphor(녹나무) : 혈액순환, 진통, 소염 작용

Menthol : 통증이나 가려움을 억제

Cajuput Oil(카주풋유) : 뛰어난 살균력으로 상처치료에 이용

Dementholised Mint Oil : 알레르기와 감기치료에 좋음

Clove Oil : 살균 및 진정 작용

Cassia Oil : 긴장을 풀어주고 정신을 진정시켜주는데 효과

Paraffin & Petrolatum : 피부 건조를 막아줌

위와 같이 많은 효능이 있습니다.


지금 목에 담이 온것처럼 아파서 발랐는데 통증이 거의 사라졌네요. ^^


이 연고하나쯤은 구매하셔서 사용하시는 것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728x90
728x90

stdafx (Standard Application Frameworks) 는 개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MS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체계를 뜻한다.


C / C++ 에서 헤더 파일은 C 전처리기(PreProcessor) 에 의해 자동적으로 소스 코드를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일부 헤더 파일의 경우 방대한 크기의 소스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ex : stdio.h, window.h) 이런 코드들을 매번 컴파일하면 빌드의 시간이 점점 길어지게 된다. 

그래서 자주 바뀌지 않는 기본적인 라이브러리들의 경우에 컴파일의 시간을 줄이고자 컴파일러가 사전에 헤더 파일들을 미리 컴파일 해놓고 쓸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렇게 컴파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전에 컴파일한 결과물이 Visual Studio의 경우 .pch(PreCompiled Header) 파일 이다.


쉽게 말하면 stdafx.h 는 미리 컴파일된 헤더 (Precompiled Header) 이다.



미리 컴파일된 헤더의 설정은 프로젝트의 속성에서 확인할 수 있다.




728x90
728x90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중에 Database 를 사용해야하는 일이 생겨서, C++ 에서 SQL을 사용하려면 어떤게 좋을 지 검색하던 도중 SQLite 라는 것을 찾았다.


그래서 이것을 이용해서 작업을 하던 도중... 한글이 지원이 안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Header를 보니... 전부 char 형.... ㅠㅠ


그래서 부랴부랴 찾아보니 역시 감사하신 분들이 많이 계신다.

동일한 코드에 Unicode를 지원하게 해주신 것이다.


sqlite_unicode.zip



사용법


매개변수가 char 형인 함수에 16을 붙여주고 wchar_t로 사용하면된다.

ex) sqlite3_exec() -> sqlite3_exec16()



자세한 내용까지 적으면 원글의 작성자 분께 너무 죄송하므로 링크를 추가한다.

출처 : http://greenfishblog.tistory.com/78

728x90

+ Recent posts